월급을 받을 때 소득세 및 4대 보험 공제를 고려한 실수령액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월급 계산기를 활용하여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과 비과세 항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월급 계산기 사용법
기본 입력 항목
월급 계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월 급여와 비과세 금액을 입력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월 급여가 350만원이고 비과세 급여 항목이 20만원인 경우, 해당 금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4대 보험 공제액과 소득세가 계산됩니다. 이를 통해 세후 월급여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4대 보험 요율
2021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4대 보험 요율이 있습니다. 이 요율을 기준으로 월급을 계산해야 하며, 예를 들어 월 급여가 486만원을 초과할 경우 특별한 계산 방식이 적용됩니다. 이 경우, 국민연금의 최대 부과액은 218,700원으로 고정됩니다.
항목 | 비과세 금액 | 비고 |
---|---|---|
식대 | 월 10만원 한도 | |
교통비 | 월 20만원 한도 | 자가운전보조금 포함 |
출산/보육수당 | 월 10만원 한도 |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만 해당 |
연구소 소속 연구원 | 월 20만원 한도 | 중소/벤처기업의 부설연구소 소속 연구원 |
야간근로수당 | 연간 240만원 한도 | 월 정액급여가 210만원 이하인 경우만 해당 |
비과세 급여 항목
주요 비과세 항목
2021년 기준으로 급여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비과세 급여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대: 월 10만원 한도로 지급됩니다.
- 교통비: 자가운전보조금 등을 포함하여 월 20만원 한도가 있습니다.
- 출산/보육수당: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 월 10만원이 비과세됩니다.
- 야간근로수당: 연간 240만원 한도로 지급되며,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특수직 종사자에게 지급되는 근무복 비용, 위험수당 등도 비과세 항목에 포함됩니다.
실수령액 계산 예시
예를 들어, 월 급여가 350만원이고 비과세 급여가 20만원인 경우, 월급 계산기를 통해 계산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세후 월급여: 2,874,590원
- 4대 보험 공제액: 자동 계산된 금액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인의 급여를 입력하고 계산하면, 간편하게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월급 계산기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본인의 월 급여와 비과세 금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4대 보험 및 세금을 계산해 줍니다.
비과세 급여 항목은 무엇이 있나요?
식대, 교통비, 출산 및 보육수당, 야간근로수당 등이 있으며, 각각의 한도가 있습니다.
월급이 486만원을 초과하면 어떻게 계산하나요?
이 경우, 국민연금의 최대 부과액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세후 월급여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월급 계산기를 통해 입력한 금액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계산된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 발급 가이드